독서123 피터 싱어 - 실용적 윤리학 피터 싱어 - 실용적 윤리학당신은 윤리를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실천해야 할 문제로 바라보아야 한다. 피터 싱어는 『실용적 윤리학』에서 도덕적 문제들이 철학적 논의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일상적 선택과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윤리가 단순한 도덕적 이상이 아니라, 실제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적 도구임을 강조한다. 당신이 이 책을 통해 마주하게 되는 것은 동물 해방, 빈곤 문제, 생명윤리 등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도덕적 논쟁들이다.먼저, 당신은 동물에 대한 도덕적 고려가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과 마주한다. 전통적으로 윤리는 인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지만, 싱어는 동물 또한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라는 점에서 도덕적 고려.. 2025. 3. 27. 레프 톨스토이 - 안나 카레니나 레프 톨스토이 - 안나 카레니나당신은 사랑과 도덕, 사회적 규범과 개인의 욕망이 충돌하는 세상을 마주하게 된다. 『안나 카레니나』는 단순한 연애소설이 아니라, 인간의 삶과 사회를 깊이 파고드는 철학적 탐구이기도 하다. 당신이 이 소설을 읽으며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은 “행복한 가정은 모두 닮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 다르다”라는 강렬한 첫 문장이다. 이 한 문장에서 이미 톨스토이는 인간관계의 본질을 꿰뚫는다.이야기의 중심에는 당신이 쉽게 사랑하게 될 인물, 안나 카레니나가 있다. 그녀는 아름답고 지적인 여성으로, 러시아 귀족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녀는 사랑 없는 결혼 생활 속에서 점점 숨이 막혀간다. 그녀의 남편, 알렉세이 카레닌은 사회적 지위가 높고 도덕적 신념이 강한.. 2025. 3. 26. 알랭 드 보통 - 행복의 철학 알랭 드 보통 - 행복의 철학당신은 행복을 원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알랭 드 보통은 『행복의 철학』에서 당신이 행복을 어떻게 이해하고, 그것을 얻기 위해 어떤 길을 택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그는 단순한 감정적 만족이 아니라, 철학적 통찰을 통해 당신이 지속적인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당신이 흔히 생각하는 행복은 순간적인 기쁨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성공, 부, 사랑, 명예 같은 요소들이 당신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보통은 이러한 외적인 요인만으로는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없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을 때조차도 불안과 결핍의 감정은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떻게 해야 지속적인 행복을 찾을.. 2025. 3. 26. 앤드류 로버트슨 - 연대기와 철학 앤드류 로버트슨 - 연대기와 철학당신은 역사를 단순한 사건의 나열로 이해하는가, 아니면 철학적 해석이 필요한 심오한 탐구로 보는가? 앤드류 로버트슨은 『연대기와 철학』에서 역사가 단순한 연대기의 축적이 아니라, 인간의 사유와 가치 판단이 개입된 지적 작업임을 강조한다. 당신은 이 책을 통해 역사적 사건이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시대적 맥락과 철학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될 것이다.먼저, 당신이 알아야 할 것은 연대기와 역사 철학의 차이다. 연대기는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한 것이지만, 역사 철학은 그 사건들이 왜 일어났고, 어떤 의미를 가지며, 그것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민하는 학문이다. 당신은 단순히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 충분할까? 로버트슨은.. 2025. 3. 26. 에드워드 사이드 - 오리엔탈리즘 에드워드 사이드 - 오리엔탈리즘당신이 ‘동양’이라는 개념을 떠올릴 때, 그것은 과연 객관적인 실체일까, 아니면 서구가 만들어낸 하나의 이미지일까? 에드워드 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에서 서구가 동양을 어떻게 정의하고 묘사해왔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동양에 대한 지식이 단순한 학문적 연구가 아니라 권력과 밀접하게 연관된 담론임을 강조한다.오리엔탈리즘이란 서구가 동양을 바라보는 특정한 방식이다. 당신이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가진다면, 동양을 신비롭고 이국적인 동시에 미개하고 정체된 공간으로 인식할 것이다. 서구는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 스스로를 합리적이고 발전된 문명으로 규정하고, 동양을 지배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논리를 구축했다. 다시 말해, 동양은 스스로를 규정하기 전에 이미 서구의 시선 속에서 특정한 틀.. 2025. 3. 25. 존 스튜어트 밀 -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 - 공리주의당신이 윤리적 판단을 내릴 때 무엇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까? 존 스튜어트 밀은 공리주의를 통해 이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윤리적 원칙으로 삼는다. 즉, 어떤 행동이 옳은가 그른가를 결정하는 기준은 그것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지에 달려 있다. 당신이 도덕적 선택을 해야 한다면, 그 결정이 사회 전체의 행복을 증진하는지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밀은 공리주의를 기존의 도덕 이론들과 비교하며, 그것이 단순한 쾌락주의가 아니라 더욱 정교한 윤리 체계임을 강조한다. 당신이 쾌락을 단순히 육체적 만족이나 일시적 즐거움으로 생각한다면, 공리주의를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밀은 모든 쾌락이 동등하지 않으며, 질적으로 더 높은 .. 2025. 3. 2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 다음